• 안내
  • 창닫기

  • 대표사진
  • ㆍ 지회장
    :
    ㆍ 주소
    :
    ㆍ 연락처
    :
    ㆍ 팩스
    :
    ㆍ 이메일
    :

공지사항

Funeral Director Association of Korea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2차감염 발생, 감염관리 지침 준수(장례지도사)
| 대장협 | 조회수 268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2차감염으로 집단발생 / 감염관리 지침 준수

 

- SFTS는 주로 참진드기를 통하여 감염되나, SFTS 중증환자 및 사망자의 혈액 및 체액 노출된 경우 사람 간 전파 가능.

 

- SFTS는 치료제와 예방 백신이 없고 국내에서 현재까지 발생한 사례 중 치명률이 18.5%로 높은 만큼 SFTS 환자 진료·처치 시 의료기관 감염관리 지침 준수 필요

 

SFTS는 주로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에 물려 감염되지만, 고농도의 SFTS 바이러스를 배출할 것으로 예상되는 중증환자·사망자를 치료하는 과정에서 혈액 및 체액에 노출될 경우 비말을 통해 사람 간 전파가 가능.

 

- 2014년부터 현재까지 SFTS 사람 간 2차 감염자는 총 35명이며, 그 중 의료종사자는 34, 장례지도사는 1명이었다.

 

 

연도

합계

2014

2015

2017

2020

2024

2025

2

감염자()

35

4

5

1

15

2

8

 

 

 

- 2차 감염된 의료종사자의 대부분은 SFTS 환자에게 고위험 시술(: 심폐소생술, 기관삽관, 기관 흡인술 등)을 하는 과정에서 감염됨에 따라, 반드시 개인보호구 착용(N95 마스크, 고글 또는 안면보호구, 전신 가운, 이중 장갑) 등으로 환자의 분비물과 접촉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 “SFTS는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진드기에 물려 발생하므로, 긴 옷, 모자, 양말 등을 착용하여 노출 부위를 줄이고 기피제를 사용할 것을 당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