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eral Director Association of Korea
1. 초종(初終)
초종의 종(終)은 별세하는 순간, 운명하는 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 임종(臨終), 종신(終身)등과 같으며, 운명을 확인하는 것을 말한다.2. 복(復)
시신의 영혼을 부르는 의식으로서 육체를 떠나는 영혼을 부르는 행위이다.3. 입상주(立喪主)
상(喪)의 주인을 세우는 것으로 여기서 주인이라 함은 장자를 이르는 것이며 장자가 없으면 장손이 승중(承重: 아버지나 할아버지를 잃은 사람이 할아버지 또는 증조할아버지의 뒤를 이어서 일체의 의무와 책임을 이행하는 것 또는 그 사람을 의미)해서 모든 예를 받드는 것을 말한다.4. 역복불식
초종의 육신단절 복의 영혼단절을 통해 완전한 죽음을 확인한 후 행하는 죽은 자에 대한 예우로 옷을 벗고 음식을 먹지 않는 것.5. 치관(治棺)
호상이 목공을 시켜 나무를 가려서 관을 만들게 하는 것으로, 생전에 미리 만들어 놓기도 하였다.6. 부고(訃告)
호상과 사서(司書)가 상가(喪)를 위해 친척과 동료에게 서신을 발송하는 것.7. 염(殮)
시신을 목욕시키는 것을 말한다.8. 습
시신에게 옷을 입히는 것으로, 의복을 겹쳐서 입힌다.9. 전
예찬을 갖추어 장만하여 상에 진설(陳設)하고 향로(香爐), 향합(香盒), 초(촉:燭)를 그 앞에 설치하는 것이다. 습전(襲奠)이라고도 한다.10. 위위곡
주인 이하 모두 위(位:자리)를 정하고 위(位)에 나아가 부복(俯伏)하고 곡하는 것이다.11. 함
새로 길을 물로 씻은 입쌀과 진주(眞珠)를 장만하며, 베게를 치우고 방건을 들치고서 입안 오른쪽에 숟가락으로 쌀을 떠서 채우고 구슬 한 개를 채우며, 왼쪽과 가운데에도 이와 같이 한다.12. 영좌
시신의 자리를 뜻하는 것으로 육체를 대신하여 유의(遺衣 : 살았을 때 입던 옷 또는 복을 한 옷을 쓰기도 한다), 영혼을 대신하여 혼백을 놓아 사자를 대신하고 있다.13. 명정
죽은 사람의 직위와 이름을 쓴 기(杞)를 명정이라고 하며, 붉은 비단으로 폭(幅)은 명정이 출고된 상태로 하고 길이는 왕은9척, 8척(5품 이하는 7척)으로 하고, 왕은 "대행왕재궁(大行王梓宮)", 벼슬이 있는 사람은 "모관모공지구(某官某公之柩 : 아무 벼슬 아무 공의 구), 벼슬이 없으면 "수생시소칭(隋生時所稱 : 생시의 이름을 따른다)"이라 쓴다.
1. 소렴
죽은 다음날에 행한다. 시신을 교포, 산의, 염의로 싸는 것을 소렴이라 하며 소렴상을 설치하고 욕석과 베개를 깔고 그 위에 교(絞 : 염할 때 마지막으로 묶어 매는 베, 교포)를 펴는데 가로 매는 것을 아래쪽, 세로 매는 것을 위쪽에 두며 양 끝을 세 갈래로 하여 쓴다.2. 전
예찬을 진설하고 그 앞에 향로, 향합, 초를 설치한다.
1. 성복
대렴한 다음 날, 즉 죽은 지 나흘째 날에 오복제도에 따라 상복을 입는 것이다.2. 조상
예찬을 진설하고 그 앞에 향로, 향합, 초를 설치한다.
1. 대렴
소렴한 다음날 죽은 지 사흘째 날에 행한다. 소렴한 시신을 교포와 이불 및 옷으로 싸서 묶고 입관하는 절차이다.
1. 문상/분상
문상은 멀리서 상을 듣고 의례를 행하는 것이고 분상은 상을 듣고 장사를 지내러 집으로 달려가는 것을 말한다.2. 치장
장사 기간 동안에 묏자리를 잡고 묘역을 조성하고 돌이나 구운 자기 또는 편회 등으로 죽은 사람의 공덕을 기록한 표지물인 지석을 만든다.3. 천구
발인 전날 아침 전제를 드리며 영구를 옮기는 것을 아뢰고 영구를 모시고 조상을 뵙는다.4. 발인
관을 상여에 싣고 장지로 가는 절차로 방상씨 등이 앞에서 인도하고 명기, 명정, 영차, 공포, 상여, 상주와 복인, 존장, 무복친, 빈객의 순으로 간다.5. 급묘/하관
급묘는 영구가 묘지에 도착하는 것을 말하며 하관은 관을 땅속에 묻는 것을 말한다.6. 반곡
영거를 모시고 천천히 집으로 오면서 슬픔이 복받치면 곡하고 문에 이르면 곡한다.7. 우제
우는 편안하다는 뜻으로 부모의 장사를 지내고 돌아와 당일 날 빈소에서 돌아가 신 이의 혼령을 편안하게 해드리기 위해 제사는 지내는 것.8. 졸곡
발인 전날 아침 전제를 드리며 영구를 옮기는 것을 아뢰고 영구를 모시고 조상을 뵙는다.9. 부제
부란 합사한다는 뜻으로 신주를 조상의 사당에 함께 모시도록 하는 절차로 졸곡 다음날 지낸다.10. 소상
첫 기일이며 초상으로부터 13개월이 되는 날로 만 일년을 맞아 지내는 제사이다.11. 대상
죽은 지 2년 만에 두 번째 기일로 제사를 지내는 것이다.12. 담제
대상 뒤 한 달을 걸러 담제를 지내며 초상 때부터 27개월째로 날을 받아 하고 절차는 대상과 같다.13. 길제
신주의 대를 바꾸는 제사로서 집안의 종손이 바뀌고 상주가 주인이 되었음을 의미한다. 담제 다음날 날을 받아 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