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내
  • 창닫기

  • 대표사진
  • ㆍ 지회장
    :
    ㆍ 주소
    :
    ㆍ 연락처
    :
    ㆍ 팩스
    :
    ㆍ 이메일
    :

명정 및 지방

Funeral Director Association of Korea

명정(銘旌)
상여 앞에서는 길을 인도하고, 하관(下官)후에는 관 위에 씌워 묻는다.
벼슬이 있는 사람은 “모관모공지구(某官某公之柩 : 아무 벼슬 아무 공의 구)", 벼슬이 없으면 "수생시소칭(隨生時所稱 : 생시의 이름을 따른다)"이라 쓴다.
부인은 남편직위를, 벼슬이 없는 사람을 처사(處處士), 학생(學生)으로 표기한다.
만 20세미만은 명정이 없으며, 만 20세 이상의 성인 총각은 "동자능성구공지구"라고 쓴다. 또한 성인처녀는 “동녀태인허씨지구”라고 쓴다.
일반
벼슬이 있을 때 벼슬이 없을 때
부(父) 모(母) 부(父) 모(母)
郡     군

守     수

豊     풍

川     천

任     임

公     공

之     지

柩     구
郡     군

守     수

夫     부

人     인

密     밀

陽     양

朴     박

氏     씨

之     지

柩     구
學     학

生     생

金     김

海     해

金     김

公     공

之     지

柩     구
孺     유

人     인

金     김

海     해

金     김

氏     씨

之     지

柩     구
종교별
천주교 기독교
敎     교

友     우

金     김

海     해

金     김

氏     씨

세     세

례     례

명     명

之     지

柩     구
聖     성

徒     도

金     김

海     해

金     김

氏     씨

之     지

柩     구
만20세이상
총각 처녀
童     동

子     자

綾     능

城     성

具     구

公     공

之     지

柩     구
童     동

女     여

泰     태

仁     인

許     허

氏     씨

之     지

柩     구


- 기독교 : 목사(牧師), 장로(長老), 권사(勸士), 집사(執事), 성도(聖徒) 홍길동 지구

- 천주교 : 김해김공길동 베드로 지구


지방(紙榜)
신주대신으로 제사 지건에 만들어 제사를 지낸 후 곧 바로 태운다.
남편 아내 부(父) 모(母) 조부(祖父) 조모(祖母)
顯     현

噼     벽

學     학

生     생

符     부

君     군

神     신

位     위
故     고

室     실

孺     유

人     인

慶     경

州     주

李     이

氏     씨

神     신

位     위
顯     현

考     고

學     학

生     생

符     부

君     군

神     신

位     위
顯     현

秕     비

孺     유

人     인

慶     경

州     주

李     이

氏     씨

神     신

位     위
顯     현

祖     조

考     고

學     학

生     생

符     부

君     군

神     신

位     위
顯     현

祖     조

秕     비

孺     유

人     인

海     해

平     평

尹     윤

氏     씨

神     신

位     위


고인 한자 한글 비고
남편 顯壁 현벽 • 顯 : 존경의 의미
• 考 : 돌아가신 아버지의 의미
• 學生/婦人 : 관직이 없는 조상의 의미
• 府君 :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 아랫사람의 경우 직적이름 표시
• 神位 : 조상의 자리를 의미
아내 亡室 망실
顯兄 현형
亡弟 망제
顯考 현고
顯妣 현비
할아버지 懸祖考 현조고
할머니 顯祖妣 현조비
증조할아버지 顯曾組考 현증조고
증조할머니 顯曾祖妣 현증조비
고조할아버지 顯高祖考 현고조고
고조할머니 顯高祖妣 현고조비

 

관직을 쓰는 경우
1. 현고국회의원부군신위
2. 현고대법관부군신위
3. 현고육군중장부군신위
4. 현고경찰청총무과장부군신위
5. 현고방배동장부군신위

 

사회직함을 쓰는 경우
1. 현고주식회사○○대표이사부군신위
2. 현고재단법인○○대표이사부군신위

 

◼ 발인축(發靷祝)
고인의 집이나 병원 영안소, 장례식장 등에서 장차 장지(葬地)로 떠나기 위해 발인제를 지낼 때 읽는 축은 다음과 같다.
靈輀旣駕往卽幽宅載陳遣禮永訣終天
영이기가왕즉유택재진견예영결종천
위와 같은 내용의 글씨를 백지에 세로로 써서 발인제(영결식)를 지낼 때 축관(祝官)이 읽는다.

 

◼ 제주축(祭主祝)
산에서 시신을 하관(下官)한 뒤 봉분작업을 끝내고, 새로 쓴 묘 앞에 제수를 진설, 제사를 지내면서 읽는 축인데 평토제축(平土祭祝)이라고도 한다.
[축 쓰는 요령]
①은 초상이 나서 장례치르는 당년의 간지[간지]
②는 음력으로 장례치르는 달
③은 장례치르는 달 음력 초하루 간지
④는 음력으로 장례치르는 날짜
⑤는 장례치르는 날의 간지
⑥은 부친상에 孤子, 모친상에 哀子, 부모 다 사망한 경우 孤哀子상로 상황에 따라 바꿔 쓴다.
⑦은 상주(喪主)의 이름
⑧은 모친상이면 顯妣孺人이고,
⑨는 벼슬이 있으면 學生과 孺人을 벼슬 이름으로 쓴다.
⑩은 현재 대개 신주도 없고, 혼백도 없으므로 글귀를 옛 서식과 바꿔 쓴 것이다.
⑪ 새로 사진을 봉안하는 풍속이 일반적이므로 시재에 따라 편의상 실제대로 문구를 맞춰 쓴 것이다.

 

 

◼ 우제축(虞祭祝)
우제(虞祭)란 산에서 장례행사를 마치고 영본(影本:실은 神主나 魂魄)과 지방(紙榜)을 상청위에 봉안하고 지내는 제사로서 반드시 장례 당일 오후 해지기 전에 지내야 한다.
<설명> 태세, 月 초하루의 干支, 날짜 日의 千支, 상주이름, 고인의 칭호 등은 위 제주축(祭主祝)의 요령과 같다. (단, 再虞와 三虞는 날짜와 日의 千支를 바꿔 쓰면 된다) -1에 있어 재우면 再虞, 삼우면 三虞라 쓰고,
-2에 있어 재우면 虞事 삼우면 成事라 고쳐서 읽으면 된다.

 

 

◼ 소대상(小大祥)과 49일제
[소대상 49제 등용]
소상(小祥)은 사망 후 1년 사망 당일에 지내는 제사이고, 대상(大祥)은 소상 다음해(사망 2년 뒤) 당일에 지내는 제사이다.
요즘 49일제(재)를 지내는 것으로 상(喪)을 끝내는데 절에서 지내면 49재(齎)이고, 집에서 지내면 49일제(祭)로 명칭해야 옳다.
대상축(大祥祝)은 奄及小祥을 大祥으로, 哀薦常事를 祥事로 고쳐 쓰면 된다.
49일제에 있어 서식은 小大祥祝과 거의 같고
단 奄及小祥을 奄及四十九日로, 哀薦常事를 薦四十九日祭로 융통해서 쓰면 될 것이다.
※ 제사 절차는 忌日祭와 거의 같다. 단, 기일제는 주인이 가득 부은 술잔을 일단 位前에 올렸다가 다시 내려 祭主한 뒤 位前에 올리지만 우제와 소대상은 집사가 따라준 잔을 그 참 祭主해서 올리는 것만 다르다.

 

 

◼ 기일축(忌日祝)
태세(太歲), 月, 초하루 日辰, 제삿날짜, 제삿날짜의 干支, 고인과의 관계, 제주의 이름 등은 제사지내는 年月日과 관계, 이름에 따라 쓰면 된다. 그리고 부모제사에는 昊天悶極(호천망극)이라 쓰지만 부모가 아닌 조부모 이상은 不勝永慕(불승영모)로 고쳐 쓴다.
제수(祭需)에 있어 떡이 없으면 왼편 庶羞를 고쳐 脯型(포해)라 쓴다.

 

 

입관길시(入棺吉時)
염(欽)이 끝나면 곧 시신을 관(棺)에 안치하고 관 뚜껑을 덮은뒤 병풍이나 장막으로 가린 다. 염은 대개 1시간 정도 소요되므로 아래 기록된 입관시간보다 1시간 앞당겨 염습을 시 작하면 입관길시를 맞출 수 있을 것이다.

子日甲庚時, 丑日乙辛時, 寅日乙癸時, 卯日丙壬時, 辰日丁甲時, 已日乙庚時, 牛日丁癸時, 未日乙辛時, 申日甲癸時, 酉日丁壬時, 戌日庚王時, 亥日乙辛時

이상을 쉽게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甲子日一牛戌時, 乙표日-已酉時, 丙寅日-已未時, 丁卯日一實牛時, 戌辰日一實巳時
己已日-牛亥時, 庚牛日一未亥時, 辛未日-卯未時, 壬申日一卯辰時, 癸酉日一巳戌時
甲戊日一牛申時, 乙支日一已酉時, 丙子日一寅牛時, 丁표日一已亥時, 戊寅日一卯亥時
己卯日一寅申時, 庚辰日一申亥時, 辛已日一實未時, 壬牛日一卯未時, 癸未日一卯酉時
甲申日-酉戌時, 乙酉日一牛亥時, 丙戌日一寅辰時, 丁亥日一已亥時, 戊子日一寅申時
己丑日-未亥時, 庚寅日一未酉時, 辛卯日-辰申時, 壬辰日一辰未時, 癸巳日一卯申時
甲牛日一卯酉時, 乙未日一已酉時, 丙申日-巳牛時, 丁酉日一實未時, 戊戌日-申戍時
己亥日- 未亥時, 庚子日-辰申時, 辛丑日-卯未時, 壬寅日-卯巳時, 癸卯日一辰戍時
甲辰日一卯戌時, 乙已日-辰酉時, 丙牛日一已酉時, 丁未日一已亥時, 戊申日一寅亥時
己酉日一卯申時, 庚戌日一辰牛時, 辛亥日一卯未時, 壬子日一辰戌時, 癸丑日一卯酉時
甲寅日一酉亥時, 乙邦日一牛戌時, 丙辰日-牛酉時, 丁已日一已戌時, 戊牛日一已亥時
己未日一未亥時, 庚申日一未申時, 辛酉日一辰酉時, 壬戌日一寅戌時, 癸亥日一卯酉時

 

하관길시(下棺吉時)
이장(移葬) 때의 하관시간은 年月日時의 길국(吉局)에 의하지만 초상 때의 하관시간은 황도시(黃道時)의 巳·牛·未時 중에 정하면 된다. 황도시 이외의 시간은 당연히 흑도시(黑道時)가 된다.

子牛日一子‧丑‧事‧牛‧申‧酒時 丑未日一寅‧卯‧巳‧中‧戊‧亥時
資申目一子‧丑‧長‧巳‧未‧夜時 卯酉日一子‧實‧卯‧牛‧未‧酒時
辰戍日一寅‧辰‧巳‧申‧酉‧亥時 巳亥日一丑‧辰‧牛‧未‧戌‧亥時